투맥스(Tumax) 무선동조플래시 DSL880AFZ-O (올림푸스용)
나는 초보적인 실력이지만 올림푸스 C-5050Z 유저다. 주로 실내에서 찍는 일이 절반이상은 되서 플래시가 있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었다.
올림푸스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는 TTL지원 플래시는 비싼 올림푸스 정품밖에 없다.(내가 인터넷으로 찾아봤을때는 없었다.) 그래서 나같은 초보자는 그 비싼 플래시를 쉽게 구매할수가 없었다. 그래도 올림푸스 디카와 호환되는 인얀이나 메츠같은 몇개의 플래시가 있긴 하지만 TTL이 지원되지 않기때문에 완전수동으로 사용해야 되기에 초보자들에게는 사용하기 불편한 제품들이였다.
하지만 투맥스에서 나온 DSL880AFZ-O는 TTL이 지원되며 가격도 저렴한 플래시였다.
올림푸스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는 TTL지원 플래시는 비싼 올림푸스 정품밖에 없다.(내가 인터넷으로 찾아봤을때는 없었다.) 그래서 나같은 초보자는 그 비싼 플래시를 쉽게 구매할수가 없었다. 그래도 올림푸스 디카와 호환되는 인얀이나 메츠같은 몇개의 플래시가 있긴 하지만 TTL이 지원되지 않기때문에 완전수동으로 사용해야 되기에 초보자들에게는 사용하기 불편한 제품들이였다.
하지만 투맥스에서 나온 DSL880AFZ-O는 TTL이 지원되며 가격도 저렴한 플래시였다.
인터넷 쇼핑몰에서 9만원에 구매하여 집에서 몇번 사용해본후 짧게 사용기를 적어보겠다.
제품설명 - 출처 : 필름나라
사용가능기종
- E1, E20, E10, C8080WZ, C5060WZ, C5050Z, C5000Z
- C2500L, C770UZ, C750UZ
- IS3000QD
- E1, E20, E10, C8080WZ, C5060WZ, C5050Z, C5000Z
- C2500L, C770UZ, C750UZ
- IS3000QD
가이드넘버 30(ISO 100) : 30(m)/100(ft) at 50mm Position
줌 헤드 : 28mm~35mm~50mm~85mm
배터리 : AA알카배터리 1.5V 4개(R6,LR6)
동조시간 : 1/500 - 1/30.000sec
충전시간 : 0.3~7sec
플래시 발광회수 : 150회(알카배터리일경우)
색온도 : Day light color
크기 : 95 x 71 x 77mm
무게 : 250g
줌 헤드 : 28mm~35mm~50mm~85mm
배터리 : AA알카배터리 1.5V 4개(R6,LR6)
동조시간 : 1/500 - 1/30.000sec
충전시간 : 0.3~7sec
플래시 발광회수 : 150회(알카배터리일경우)
색온도 : Day light color
크기 : 95 x 71 x 77mm
무게 : 250g
이제 사진을 보면서 설명하겠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0/17_9_9_21_blog323270_attach_3_327.jpg?original)
플래시는 너무크지도 않고 너무 작지도 않고 C-5050z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크기 같았다.
먼저 앞면을 보자. 그냥 일반적이고 평범한 모습인것 같다. 앞에 빨간색은 무슨기능을 하는지는 모르겠다.. (장식인가?)
먼저 앞면을 보자. 그냥 일반적이고 평범한 모습인것 같다. 앞에 빨간색은 무슨기능을 하는지는 모르겠다.. (장식인가?)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5/17_9_9_21_blog323270_attach_3_332.jpg?original)
뒷면 사진이다. 완전자동이라서인가 ? 뒷면은 너무 단순하다. 전원스위치와 테스트샷 버튼밖에 없다.
사용자 임의로 광량조절이 불가능하다는 아쉬운점이 남는다.
사용자 임의로 광량조절이 불가능하다는 아쉬운점이 남는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2/15_9_9_21_blog323270_attach_3_304.jpg?original)
제품하단의 접점고정 시키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돌려서 조이는 방식이 아니고 손가락으로 누르고 당기는 방식이다.
간편하고 잘붙어있지만 왠지 기분상 혹시 부러지거나 플래시가 빠지지않을까 걱정된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돌려서 조이는 방식이 아니고 손가락으로 누르고 당기는 방식이다.
간편하고 잘붙어있지만 왠지 기분상 혹시 부러지거나 플래시가 빠지지않을까 걱정된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1/17_9_9_21_blog323270_attach_1_134.jpg?original)
배터리 삽입부분이다.
뚜껑과 플래시 연결부분이 너무 튼튼하지 못해보인다. 뚜껑을 열거나 닫을때 조심해야 오래사용할수 있을것 같다.
이제 나름대로 테스트샷으로 찍은것을 보여주겠다.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초보기에 그냥 P모드로 찍었습니다.
인물모델이 없어서 그냥 물건으로 찍었습니다. 방에서 저녁에 촬영하였으며 삼각대를 이용하였습니다.
포토샵으로 보정하지 않았으며 그냥 사이즈만 줄였습니다.
앞에서도 말씀드렸듯이 초보기에 그냥 P모드로 찍었습니다.
인물모델이 없어서 그냥 물건으로 찍었습니다. 방에서 저녁에 촬영하였으며 삼각대를 이용하였습니다.
포토샵으로 보정하지 않았으며 그냥 사이즈만 줄였습니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2/15_9_9_21_blog323270_attach_3_305.jpg?original)
내장, 외장플래시를 전혀 사용하지 않았을경우입니다. 역시 사진이 가장 자연스럽고 보기좋네요.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4/17_9_9_21_blog323270_attach_3_342.jpg?original)
외장플래시로 90도 천정바운스 촬영하였습니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1/17_9_9_21_blog323270_attach_1_135.jpg?original)
외장플래시로 45도 천정바운스 촬영하였습니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1/17_9_9_21_blog323270_attach_1_136.jpg?original)
외장플래시로 0도 직광 촬영하였습니다.
![](https://t1.daumcdn.net/tistoryfile/fs14/17_9_9_21_blog323270_attach_3_343.jpg?original)
내장플래시로 촬영하였습니다.
내장플래시보다 외장플래시가 약간 위로 빛이 들어간것처럼 보이실겁니다.
사물과 카메라의 거리가 80Cm ~ 1m정도밖에 안되기때문에 그럴것입니다. 내장플래시가 외장플래시에 비해 더 높은위치에 있으니 당연한 결과지요.
사진을 찍을때 내장플래시 또는외장플래시 또는내/외장플래시를 함께사용할때 어떻게 사용하든 셔터스피드는 똑같게 나옵니다.
올림정품이 아니라서 그런건지 올림티카가 원래그런건지는 모르겠습니다.
이런 증상은 C-5060wz 사용자들에게도 나타난다고 하더군요.
그렇기 때문에 정확한 셔터스피드인지 어떻게 찍히는건지 숫치상으로는 알수가 없는 애매한점이 있습니다.
천정바운스를 하면 사진이 자연스러워지는대신 광량이 부족할것 같다는생각이 듭니다.
카메라는 직광인지 천정바운스인지 모를테니까요..
그래서 광량조절이 필요한것이고 카메라 조작이 필요한가 봅니다.. 그렇게 따지자면 TTL 지원은 완전 초보에게만 좋은기능이란말인가 ?
흠...
초보다보니 그냥 느낀대로 적어봤습니다. 좀 도움이 되었을지모르겠군요...
많은테스트도 아니고.. ^^; 그냥 짧게 적어봤으니.
그냥 참고바랍니다. 추후 잘찍은 사진있으면 이곳에 올려보겠습니다.
많은테스트도 아니고.. ^^; 그냥 짧게 적어봤으니.
그냥 참고바랍니다. 추후 잘찍은 사진있으면 이곳에 올려보겠습니다.
반응형
'내가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엠파스 에서 오늘의 최고 블로거 되다.. 2월 14일 (0) | 2005.02.15 |
---|---|
랜드시네마에서 생일축하 티켓을 ~ ^^ (0) | 2005.01.25 |
용산 스페이스9 - 코스프레 행사 - (0) | 2004.10.10 |
윈도우 다시 또 설치하다. (0) | 2004.09.11 |
윈도우 XP 를 세번째 깔다. (0) | 2004.08.27 |